제목 :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 양동’
이름 : 관리자
등록일 : 2009-09-17 22:08:26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 양동’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전문가 현지실사 완료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이 유네스코(UNESCO : 국제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유산으로 신청한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 양동’에 대한 현지실사가 지난 9월 9일(수)부터 9월 14일(월)까지 진행되었다.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현지실사는 유네스코의 의뢰에 따라 자문기관인 ICOMOS (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수행하는데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 양동’에 대한 현지 실사는 홍콩대학 건축학부 교수인 린 디스테파노(Dr. Lynne D. DiStefano) 박사가 담당했다.
린 디스테파노 박사는 실사 기간 동안 세계유산으로 신청한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의 유산적 가치와 보존관리 현황 등을 점검하고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직접 청취했다.
이번 실사결과를 포함한 ICOMOS의 최종 평가결과는 제34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2010년 7월 말 /브라질 브라질리아)에 권고사항으로 보고되어 동 회의에서 등재 여부가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
〈참고자료〉
1.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 양동’ 등재추진 경과 및 향후일정
2.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 양동’ 의 특징 및 가치
3. 실사자 주요약력
4. 유네스코 세계유산 및 한국의 세계유산 현황
《참고자료》
□ ‘한국의 역사마을’ 세계유산 등재 추진경과 및 향후일정
ㅇ 2001. 12.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
ㅇ 2009. 1 세계유산 신청서 유네스코 제출
ㅇ 2009. 2 세계유산 등재추진 실무위원회 구성
(문화재청, 경상북도, 경주시, 안동시 및 ICOMOS 한국위원회 전문가 등)
ㅇ 2009. 2월, 5월 국외전문가 예비실사(2회)
ㅇ 2009. 2~8월 보존현황 정비, 실사대비 자료집 제작 등
ㅇ 2009. 9. 9~9. 14 자문기구(ICOMOS) 현지실사
ㅇ 2009. 9~2010. 3 자문기구 내부평가
ㅇ 2010. 4 자문기구 권고안 유네스코 보고(예정)
ㅇ 2010. 7 제34차 세계유산위원회(브라질) 등재 결정
□ 현지실사 세부일정
ㅇ 9. 9(수) 입 국
ㅇ 9. 10(목) 전문가 종합발표 및 양동마을 실사
ㅇ 9. 11(금) 옥산서원 및 하회마을 실사
ㅇ 9. 12(토) 하회마을 및 병산서원 실사
ㅇ 9. 14(월) 최종 종합회의, 출국
□ ‘한국의 역사마을’ 의 특징 및 가치
ㅇ 명 칭 :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 양동
(Historic Villages of Korea : Hahoe and Yangdong)
ㅇ 대상유산
- 하회마을(중요민속자료 122호), 병산서원(사적 260호)
- 양동마을(중요민속자료 189호), 독락당(보물 제413호) 및 옥산서원(사적 154호), 동강서원(경상북도 기념물 114호)
ㅇ 유산의 가치 및 신청근거
- 하회․양동마을은 한국의 전통 씨족마을을 대표하는 유산으로 조선시대 유교사회의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 씨족마을의 고유한 공간 구성을 완전하게 보전하고 있다.
두 마을은 생산영역, 생활영역 의식영역으로 구성되는 마을 공간을 기능적, 경관적으로 완전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지금도 그 기능이 살아있는 드문 사례이다.
- 두 마을은 풍수조건을 잘 갖춘 길지에 자리 잡은 이상적인 마을로 격식이 높은 살림집, 사당, 정사, 정사, 서원, 서당 등 역사적인 건축물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물은 자연과 조화를 예술적, 기술적으로 탁월하게 반영하고 있다.
- 두 마을은 역사적으로 두 마을이 배출한 뛰어난 인물들의 학술적, 문화적 성과물인 전적, 고문서, 문집 등이 수 세대에 걸쳐 내려져 오고 있으며, 주민들의 생활 및 신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양반과 상민 계층의 무형유산이 잘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세대를 계승하고 있는 살아있는 유산이다.
□ 실사자 주요약력
ㅇ 이 름 린 디스테파노(Dr. Lynne D. DiStefano)
ㅇ 국 적 캐나다
ㅇ 주요학력 러셀 세이지 대학 학사(1962)
보스턴 대학 석사(1964)
펜실바니아 대학 박사(1973)
ㅇ 현 직 홍콩대학 건축학부 교수(건축보존프로그램 담당)
ㅇ 주요활동
- 1968~1989 브레시아대학(캐나다 온타리오주) 부교수
- 1988~1995 ICOMOS 캐나다 이사
- 2006~현재 ICOMOS 세계유산 평가활동 수행
․2006년 중국 ‘카이핑 마을’ 전문 평가자(Advisor)
․2007년 중국 ‘푸젠성 토루’ 현지실사 평가자
․2008년 ‘조선왕릉’ 전문 평가자(Advisor)
□ 유네스코 세계유산
ㅇ 세계유산의 의의
- 유네스코의 1972년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인류가 공동으로 보존하고 후손에게 전수할 보편적인 가치가 있다고 인정된 유산을 말하며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으로 구분된다.
(현재 148개국 890건의 유산이 세계유산으로 선정되어 있음)
-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유산의 진정성, 가치의 탁월함, 유산의 보존관리 상황 등에 대한 엄격한 평가가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