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문화 연구원 (2006 ~ 2023)
제목 : “역사의 숲·조선왕릉” 한글 및 영문판 화보집 발간
이름 : 관리자
등록일 : 2008-01-23 00:58:27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조선시대 역사의 실경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태조건원릉부터 순종유릉에 이르는 조선왕릉 40기에 대한 도판 해설을 담은 책자“역사의 숲·조선왕릉”(눌와)에 대해 한글 및 영문판 화보집을 각각 발간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05년부터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 사업을 착수하여 조선왕릉에 대한 건축·미술사, 조경 및 왕실의례와 관련문헌 등 분야별 조사와 왕릉의 개별 정밀실측 등의 현지조사를 10개년 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다. 이번 책자는 2007년까지 조사하고 촬영한 사계절 사진과 전체능역 등을 담은 항공촬영 등의 자료를 근간하여 조선왕릉 전체를 조망하는 책자를 우선 발간하였다.

  책자의 체제는 3부분으로 구성된 바, 먼저 518년 존속한 조선왕릉에 대한 역사와 조성배경 등 전반적인 내용과 위치파악을 위해 정릉을 비롯하여 멀리 화성 융건릉 등 18개 능역에 대한 현황도를 소개하였다.

  두 번째는 18개 능역 40기를 지역별로 ‘서울동쪽’, ‘서울시내’, ‘서울서쪽’ 순으로 나눠, 조선역대 27왕의 능별 기본설명과 함께 사계절 풍광 속에 능 전경사진과 그 능역을 이루는 정자각·비각 등 건물, 문·무석인, 장명등, 각종 석물의 특징을 담은 개별사진을 5~8매씩 수록하였다.

  세 번째는 조선왕릉의 조성형식을 유형별로 6개로 구분하고 능침공간의 배치와 능역을 이루는 구조물을 정의하였다. 더불어 실제 오늘날에도 해마다 거행하는 왕실제사격인 태조 건원릉의 산릉제례 모습을 함께 담아 조선왕릉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마지막에는 27명의 조선왕들의 묘호/능호/봉분형식/소재지를 한눈에 보이도록 일람표로 정리, 완결하였다.(표 붙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책자의 판형은 조선왕릉의 특유의 공간이 자연과 어우러진 풍경을 파노라마로 펼쳐진 상태의 효과를 최대한 살리고자 가로폭이 넓은 국배판으로 제작하였다.

  조선왕릉은 왕과 왕비가 살아생전에 머물던 궁궐과 조상신으로 숭배된 종묘의 중간단계의 조형물로서, 그들의 삶과 죽음의 세계가 교차된 의미심장한 장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왕실은 당시 도읍지였던 한양에서 십리~백리(4~40km) 내외로 왕릉을 조성하였다. 현재 왕릉은 왕족 무덤을 포함하여 총 119기로서, 이 중 왕과 왕비의 무덤에 해당하는 능(陵)은 42기인데 북한의 제릉(齊陵)과 후릉(厚陵)을 제외한 총 40기가 이 책자에 수록되었다. 이제 이번 책자를 통해 조선왕릉은 단순히 왕의 무덤이라는 차원을 넘어 조선의 정치·경제상황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 조경, 건축, 석조미술, 제례문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살아있는 종합박물관으로 성큼 다가설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조선왕릉은 그 인접성 등으로 다른 유적과 달리 학술적 대상으로서의 중요한 역사유적이기 이전에 일반시민들과 함께 500여년 세월을 살아 숨쉰 휴식공간으로서 그 의미가 더욱 깊다. 이런 유적의 성격을 감안하여 기존 학술서와는 달리 오백년의 긴 역사의 숲을 조용히 산책하는 기분으로 책장을 넘길 수 있도록 본문을 사진첩 위주로 발간하였다. 더욱이, 국문판에 이어 영문판을 제작함으로 조선왕릉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문화유산 정책을 홍보하는 자료로도 사용됨에 따라 연구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번 책자를 통하여 중국·일본 등 이웃나라의 능과는 달리 조선왕릉은 둥근 봉분을 비롯한 각종 구조물이 주변 언덕과 숲 등의 자연지형과 잘 어우러지게 조성함으로써 조선왕릉의 독특하고 고유한 경관은 친환경, 친자연적인 인공공간의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어 조선왕릉 만의 특징을 세계에 알리고자 하였다.

  앞으로도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 사업을 지역별로 집중 추진하여 2009년까지 동구릉 지역의 능을 정밀실측을 완료하고 분야별 조사·연구를 통해 종합보고서를 간행하고 학술심포지엄 등을 개최하여 학술적 발전도 이룰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붙임 : 조선왕릉 일람표 및 사진자료
□ 조선왕릉 일람표
순 위
묘 호
능 호
봉분 형식
소 재 지
제1대
태조
건원릉
단릉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길 233
신의왕후
제릉 *(北소재)
단릉
북한 개성시 판문군 상도리
신덕왕후
정릉
단릉
서울시 성북구 정릉2동 산 87-61
제2대
정종
정안왕후
후릉 *(北소재)
쌍릉
북한 개성시 판문군 령정리



제3대
태종
원경왕후
헌릉
쌍릉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산 13-1



제4대 
세종
소헌왕후
영릉
합장릉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산 83-1



제5대
문종
현덕왕후
현릉
동원이강릉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2-1



제6대 
단종
장릉
단릉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산 133-1
정순왕후
사릉
단릉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사릉리 산 65-1
제7대
세조
정희왕후
광릉
동원이강릉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산 99-2



제8대
예종
안순왕후
창릉
동원이강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 30-1



장순왕후
공릉
단릉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봉일천리 산 4-1
추존
덕종(성종 부)
경릉
동원이강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 30-1
소혜왕후



제9대 
성종
정현왕후
선릉
동원이강릉
서울시 강남구 삼성2동 135-4



공혜왕후
순릉
단릉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봉일천리 산 15-1
제10대
연산군
부인 신씨
연산군묘
쌍분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산 77
*(폐위된 왕)


제11대 
중종
정릉
단릉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35-4
단경왕후
온릉
단릉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산 19
장경왕후
희릉
단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산 38-4
문정왕후
태릉
단릉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산 223-19
제12대 
인종
인성왕후
효릉
쌍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산 38-4



제13대
명종
인순왕후
강릉
쌍릉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산 223-19



제14대
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목릉
동원삼강릉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길 233






제15대 
광해군
부인 유씨
광해군 묘
동원이실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송릉리 산 59
*(폐위된 왕)


추존
원종(인조 부)
인헌왕후
장릉
쌍릉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산 141-1



제16대
인조
인렬왕후
장릉
합장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 산 25-1



장렬왕후
휘릉
단릉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길 233
제17대
효종
인선왕후
영릉
동원상하릉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산 83-1



제18대
현종
명성왕후
숭릉
쌍릉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길 233



제19대
숙종
인현왕후
인원왕후
명릉
동원이강릉(쌍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 30-1




(단릉)

인경왕후
익릉
단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 30-1
제20대
경종
선의왕후
의릉
동원상하릉
서울시 성북구 석광동 1-5



단의왕후
혜릉
단릉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길 233
제21대
영조
정순왕후
원릉
쌍릉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길 233



정성왕후
홍릉
단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 30-1
추존
진종(정조 양부)
효순왕후
영릉
쌍릉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봉일천리 산 4-1



추존
사도세자(장조)
헌경왕후
융릉
합장릉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효행길 612



제22대
정조
효의왕후
건릉
합장릉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효행길 612



제23대
순조
순원왕후
인릉
합장릉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산 13-1



추존
문조(헌종 부)
신정왕후
수릉
합장릉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2-1



제24대
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
경릉
삼연릉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2-1






제25대
철종
철인왕후
예릉
쌍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산 38-4



제26대
고종황제
명성황후
홍릉
합장릉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41-1



제27대
순종황제
순명황후
순정황후
유릉
합장릉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41-1







□ 관련사진


사진 1. 󰡔역사의 숲 조선왕릉󰡕 표지


사진 2. 태조 건원릉 항공사진
 
사진 3. 세종 영릉 봉분 및 석물 전경


 사진 4. 효종 영릉 - 인선왕비 능에서 효종 능의 전경

  사진 5. 정자각에서 바라본 효종 영릉의 왕과 왕비 능


  사진 6. 효종 영릉 재실 (보물 제1532호)
       
  사진 7. 서울도심 속의 중종 정릉              사진 8. 추존 진종 영릉 전경
                                      금천교, 홍살문, 정자각 등 부속건물과 쌍분의 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