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제52회 전국역사학대회 개최
이름 : 관리자
등록일 : 2009-05-28 09:13:19
공동주제 : 매체와 소통으로 보는 역사(1일차)
․ 일시 : 2009. 5. 29(금)
․ 장소 : 서울대학교
문화관(73동) 중강당
<개회식>
09:50~10:20 축하공연
10:20~10:30 개회사 : 노명호(제52회 전국역사학대회 대회장, 서울대)
<오전발표> 사회 : 남동신(서울대)
10:30~11:10 역사의 매체적 전환
발표 : 김기봉(경기대) / 토론 : 황대현(서울시립대)
11:10~11:50 당송변혁기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사회 변화
발표 : 이근명(한국외대) / 토론 : 이석현(경성대)
<오후발표> 사회 : 차혜원(연세대)
14:00~14:40 앙시앵 레짐 말기 매체의 역할
발표 : 주명철(한국교원대) / 토론 : 이영림(수원대)
14:40~15:20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대중매체와 '상식'의 형성
발표 : 이기훈(목포대) / 토론 : 류시현(고려대 민족문제연구소)
15:30~16:10 근·현대 중국의 대중매체와 ‘국가건설’
발표 : 전인갑(인천대) / 토론 : 임상범(성신여대)
<종합토론>
16:20~17:50 사회 : 안병직(서울대)
<환영연>
18:00~20:00 (서울대학교 문화관 전시실)
분과발표 (2일차)
- 동양사부 (5동 201호) : 동양사학회
<오전발표> 사회 : 심재훈(단국대)
10:00~10:40 商代 中期 갑골의 특징 및 演變과정
발표 : 박재복(경동대) / 토론 : 민후기(연세대)
10:40~11:20 唐 太宗期 西北 遊牧君長의 宿衛와 對外遠征 從軍
발표 : 이효재(동국대) / 토론 : 김 호(고려대)
11:30~12:10 元代 동북지방지배와 遼陽行省 -행성 建置과정의 추이를 중심으로-
발표 : 최윤정(경북대) / 토론 : 윤은숙(강원대)
<오후발표> 사회 : 박상수(고려대)
13:30~14:10 康熙 年間 辦銅 主體의 變化와 洋銅
발표 : 박민수(서울대) / 토론 : 홍성화(성균관대)
14:10~14:50 얄타회담과 중미관계
발표 : 정형아(서울여대) / 토론 : 김지환(고려대)
15:00~15:40 근세 쵸슈(長州)의 朝鮮語通詞와 정보수집
발표 : 허지은(서강대) / 토론 : 윤유숙(동북아역사재단)
16:00~16:30 동양사학회 정기총회
- 서양사부 (8동 102호) : 한국서양사학회
<오전발표> 사회 : 류한수(상명대)
09:45~10:30 가장 위험한 곳에서 가장 필요한 것: 군용통신 발달의 역사와 의미 -군사혁명의 관점에서-
발표 : 손경호(국방대) / 토론 : 이내주(육사)
10:30~11:15 문화 프로그램의 정치도구화 -KDF의 포스터를 중심으로-
발표 : 박상욱(동의대) / 토론 : 최호근(고려대)
11:15~12:00 이미지의 정치학: 대중 잡지 “아가뇩”(Ogonek)에 나타난
소비에트 병사의 이미지, 1944~1953
발표 : 송준서(한국외대) / 토론 : 박상철(전남대)
<오후발표 I> 사회 : 문지영(숙명여대)
13:30~14:15 프랑스인들의 ‘디엔 비엔 푸(Dien Bien Phu) 전투’ 인식과 기억의 변화
발표 : 이재원(연세대) / 토론 : 이용우(동덕여대)
14:15~15:00 일제 식민지시기(1920~1937년) 지식인에 비친 러시아혁명
발표 : 황동하(대진대) / 토론 : 임경석(성균관대)
<오후발표 II> 사회: 박단(한성대)
15:15~16:00 전쟁과 이민:
귀화와 귀국의 기로에 선 2차 대전기 프랑스 내 이탈리아 이민자들
발표 : 이경일(서울대) / 토론 : 박지현(서강대)
16:00~16:45 선전과 망상:
1957년에서 1966/67년까지 동독 사통당(SED)의 국가연합 통일안
발표 : 이동기(인하대) / 토론 : 이철용(건국대)
- 고고학부 (박물관(70동) 대강당) : 한국고고학회
주제 : 동아시아의 고고학연구와 내셔널리즘
<오전발표>
10:00~10:10 개회사 이강승(한국고고학회장)
10:10~10:20 발제 발표 : 이선복(서울대학교)
10:20~11:00 ‘바람직한’ 과거 -중국고고학과 민족주의-
발표 : 김정열(동북아역사재단)
11:00~11:50 일본고고학과 내셔널리즘
발표 : 岡村勝行(大阪市文化財協會) / 통역 : 이기성(한신대학교박물관)
11:50~12:30 한국 선사고고학과 내셔널리즘
발표 : 안승모(원광대학교)
12:30~13:30 중식
<오후발표>
13:30~14:10 고대 한일관계사연구와 내셔널리즘
발표 : 박천수(경북대학교)
14:10~14:50 고등학교 교과서 선사, 고대편에 나타난 내셔널리즘
발표 : 김진호(경일고등학교)
14:50~15:00 휴식 및 장내정리
<종합토론>
15:00~17:00 사회 : 이선복(서울대학교)
참석자 : 발표자 전원
김권구(계명대학교), 김종일(서울대학교), 김낙중(국립문화재연구소)
17:00 폐회
17:00~17:50 임시총회
- 과학사부 (5동 212호) : 한국과학사학회
10:00~10:30 학회 참가등록 및 회원가입 안내
<오전발표> 사회 : 박진희(동국대)
10:30~11:10 광학도구와 사진기술의 경계 -윌리엄 폭스 탤벗의 칼로타입 발명-
발표 : 유진희(서울대) / 토론 : 이관수 (동국대)
11:10~11:50 하인츠 폰푀르스터(1911~2002)와 2차 사이버네틱스
발표 : 김재영(이화여대) / 토론 : 홍성욱 (서울대)
<오후발표> 사회 : 송성수(부산대)
2:00~2:40 한국 온라인 게임 산업의 형성
발표 : 남 영(한양대) / 토론 : 김명진(성공회대)
2:40~3:20 1960년대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형성
발표 : 홍성주(서울대) / 토론 : 고대승(한국과학창의재단)
3:20~3:40 휴식
3:40~4:20 하백원(1781~1845)의 자승차 -가장 정교한 수차 설계-
발표 : 정명현(임원경제연구소) / 토론 : 문중양(서울대)
4:20~4:30 휴식
4:30~5:00 학회광고
- 역사교육부 (10-1동 103호) : 역사교육연구회
주제 : 다문화와 역사교육
<오전발표> 사회 : 김돈(서울산업대)
10:00~10:50 일제하 한국인의 화교인식 문제와 지식인의 내면세계
발표 : 김태웅(서울대) / 토론 : 장세윤(동북아연구재단)
11:00~11:50 역사교과서를 통해서 본 한국화교의 국가정체성, 1949-2007
발표 : 박태화(서울대) / 토론 : 김유리(전북대)
<오후발표> 사회 : 김창성(공주대)
2:00~2:50 초등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 방안
발표 : 유영삼(공주대) / 토론 : 장원순(공주교대)
3:00~3:50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사 교과서 내용분석 기준
발표 : 조경민(창원 장유고) / 토론 : 김미선(전남대)
4:00~4:50 역사교육에 있어서 젠더사 교육의 의미
발표 : 구민정(공주대) / 토론 : 박주현(영국 런던대)
- 미술사부 (83동 305호) : 한국미술사학회
<오전발표> 사회 : 임영애(경주대)
10:30~11:00 조선시대 宮中 彩色人物畵에 보이는 중국 院體 人物畵의 영향
발표 : 이홍주(홍익대)
11:10~11:40 17~18세기 鐵畵白磁 연구 -유적 출토 유물을 중싱으로 본 철화백자의 특징-
발표 : 송인희(국립중앙박물관)
11:50~12:20 남북조시대의 降魔서사와 成道의 이해
발표 : 강희정(한국종합예술학교)
12:30~14:00 점심
<오후발표> 사회 : 박은경(동아대)
14:00~14:30 大韓帝國期 宮中 宴享用 家具 硏究 -관련 儀軌를 中心으로-
발표 : 조시내(국립고궁박물관)
14:40~15:10 玉溪詩社의 詩畵帖과《壽甲稧帖》에 나타난 閭巷모임의 상반된 이미지
발표 : 김지연(UCLA 박사과정)
15:30~16:00 安東佛塔에 나타난 佛塔觀의 史的 考察
발표 : 신용철(통도사 성보박물관)
16:10~16:40 廣隆寺의 초기밀교와 元興寺
발표 : 임남수(영남대학교)
- 경제사부 (5동 213호) : 경제사학회
<오전발표> 사회 : 박기주(성신여대)
10:00~12:00 고고학을 통한 경제사 연구 시론
발표 : 서길수(서경대) / 토론 : 권병탁(영남대 명예교수)
종방그룹의 평양제철소 건설과 군수적 다각화
발표: 정안기(고려대) / 토론: 배석만(부산대)
12:00~13:30 점심시간
<오후발표> 사회 : 박기주(성신여대)
13:30~15:30 전시기 미쯔비시중공업의 하청제 운영 -1945년 하청공장명부를 중심으로-
발표 : 최우영(한국외대) / 토론 : 여인만(강릉대)
1800년경 조선, 영국, 중국의 총요소 생산성과 ‘Great Divergence'
발표 : 차명수(영남대) / 토론 : 김두얼(KDI)
<자유패널>
-도시사학회(7동 102호)
주제 : 도시의 시각적 재현과 문화소통
<오전발표> 사회 : 염운옥(고려대)
10:30 개회사 : 김태승(아주대)
10:40~11:10 인상파 풍경화에 나타난 근대도시
발표 : 이택광(경희대)
11:10~11:40 세기말 빈 링슈트라세 건축물과 도시 이미지정치
발표 : 최용찬(연세대)
11:40~12:10 토론 : 민유기(광운대), 전진성(부산교대)
<오후발표 Ⅰ> 사회 : 김승욱(서울시립대)
13:30~14:00 명말 남경의 출판문화와 정보의 확산
발표 : 황지영(경원대)
14:00~14:30 사진엽서를 통해 본 식민지 경성의 이미지
발표 : 권혁희(서울역사박물관)
14:30~15:00 토론 : 조영헌(홍익대), 김백영(광운대)
<오후발표 Ⅱ> 사회 : 유승희(서울시립대)
15:15~15:45 인천 근대화에 대한 사진 제작자의 시선의 차이
발표 : 김창수(인천학연구원)
15:45~16:15 1950년대 한국영화를 통해 본 도시의 일상과 욕망
발표 : 강성률(광운대)
16:15~16:45 토론 : 김윤희(한림대), 김수진(서울대 규장각)
<종합토론>
17:00~18:00 사회 : 박진빈(경희대)
- 한국사상사학회(7동 106호)
주제 : 18세기 후반 조선 사상계의 지형과 문제의식
<오전발표> 사회 : 정호훈(서울대)
10:00~10:10 개회사 : 최기영(서강대)
10:10~10:40 18세기 후반의 국어학과 정동유
발표 : 김양진(고려대)
10:40~11:10 황윤석의 천문관
발표 : 구만옥(경희대)
11:10~11:55 토론 : 양정호(덕성여대), 임종태(서울대)
<오후발표Ⅰ> 사회 : 조성을(아주대)
13:30~14:00 서명응의 음악론
발표 : 송지원(서울대)
14:00~14:30 윤행임의 예학과 상례 인식
발표 : 이현진(서울대)
14:30~15:15 토론 : 이정희(서울대), 박종천(충북대)
15:15~15:30 중간 휴식
<오후발표 Ⅱ> 사회 : 조성산(고려대)
15:30~16:00 안정복의 정치사상과『東史綱目』
발표 : 원재린(연세대)
16:00~16:30 『練藜室記述』의 조선전기 정치사 인식
발표 : 김 범(국사편찬위원회)
16:30~17:15 토론 : 허태용(성균관대), 최성환(서울대)
- 한국사학사학회(6동 105호)
주제 : 역사의 독점과 유통
<오후발표> 사회 : 김경수(청운대)
13:30~14:10 宣朝代 '秘密朝報' 운영과 臺諫의 역할 및 위상
발표 : 김경래(서울대)
14:10~14:50 『이재난고(頤齋亂藁)』에 나타난 동요의 의미
발표 : 노혜경(한국학중앙연구원)
14:50~15:00 중간휴식
15:00~15:40 조선후기 한글 필사본 서적의 유통
- 천주교 교리서『교요셔론』을 중심으로 -
발표 : 노용필(전북대)
15:40~16:20 중국 고대 국가의 문서관리와 역사서의 편찬
발표 : 방향숙(연세대)
16:20~17:00 역사지식의 개방과 유통: 위키피디아의 역사 관련 지식들
발표 : 고 원(경희대)
<종합토론>
17:10~17:40 사회 : 김경수(청운대)
- 한국여성사학회(6동 103호)
주제 :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 관점에서 본 여성이주
9:30~ 10: 00 등록
<오전발표> 사회 : 박 주(대구가톨릭대)
10:00~11:00 나혜석의 풍경화 -여행과 공간의 성의 정치학-
발표 : 신지영(이화여대) / 토론 : 신남주(동남보건대)
11:00~12:00 식민지 시대 이주하는 조선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양충자(중화민국 톈진)와 이종수(만주국 안동)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발표 : 김미선(이화여대) / 토론 : 김영선(연세대 국학연구원)
<오후발표> 사회 : 강영경(숙명여대)
1:00~2:00 중경임정시기 한인교포 사회와 여성의 삶
발표 : 김성은(서강대) / 토론 : 윤정란(숭실대)
2:00~3:00 한인여성 간호노동자의 독일이주와 한인가정 내 여성의 역할
발표 : 나혜심(성균관대) / 토론 : 이용일(부산대 인문학연구소)
<종합토론>
3:10~4:30 사회 : 안태윤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 한국역사민속학회(7동 101호)
주제 : 착용의 문화사
<오후발표> 사회 : 심승구(한국체육대학교 교수)
13:30~14:00 노출과 은폐의 문화사
발표 : 이민주(성균관대) / 토론 : 최은수(국립민속박물관)
14:00~14:30 신의 챡용 문화와 복식미적 고찰
발표 : 조선희(한서대) / 토론 : 윤양노(중부대)
14:30~15:00 갓의 문화사
발표 : 박형박(단국대) / 토론 : 송미경(서울여대)
15:00~15:30 가채의 문화사
발표 : 김민정(신흥대) / 토론 : 이상은(건국대)
<종합토론>
15:30~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