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문화 연구원 (2006 ~ 2023)
제목 : 제 23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안내
이름 : 관리자
등록일 : 2013-09-04 22:35:37

세계 3대 뮤지컬 중의 하나로 꼽히는 <노틀담의 꼽추> 콰지모도의 모습  
                제22회 콘텐츠포럼, "프랑스 뮤지컬의 감상과 이해"  



제 23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안내
  

상쾌하게 불어오는 가을바람과 청명한 하늘이 무척이나 반가운 요즘입니다. 


더위에 지치고 땀에 눅눅해진 몸과 마음은 이제 훌훌 털어버려도 될 거 같습니다. 

갈라파고스도 새로운 마음으로 9월 콘텐츠 포럼을 준비했습니다.
  

지난 몇 년 전부터 전국적으로 도시 재생과 마을 만들기가 한창입니다.

그 가운데 서울의 '서촌' 이라고 불리는 경복궁 서쪽 인왕산 아래 자리 잡은 체부동, 통인동, 누상동, 효자동 등 13개 동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 지역은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다양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서촌의 주민이자 ‘서촌주거공간연구회’를 만든 서울대학교 로버트파우저(Robert Fouser)교수님을 모시고 ‘서촌에서 본 주민활동의 가능성 및 과제’를 말씀을 듣고자 합니다. 여기에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는 김민옥 박사가 서촌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발표를 듣고 토론하고자 합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13. 9. 3 


                                                                  Galapagos 포럼운영자 심승구
  

&#9646; 9월 콘텐츠포럼 안내 

* 주제 : ‘서촌에서 본 주민활동의 가능성 및 과제’ 

* 일시 : 2013년 9월 14일(토) 14:00-18:00 

* 장소 : 서울연극센터 (혜화역 4번출구) 


1. 발표 (14:00-16:00) 

주 제 : ‘서촌에서 본 주민활동의 가능성 및 과제’ 

발표자 : Robert Fouser (서울대학교 교수)
  

* coffee break (16:00~16:15) 


2. 발표 (16:15-17:15) 

주 제 : ‘복원과 재현을 통해 본 서촌의 문화콘텐츠’ 

발표자 : 김민옥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3. 자유토론 (17:30~19:00)
  

* 참석여부를 알려주시면 진행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심승구 : 010-5650-5064 (skshim@knsu.ac.kr) 


<갈라파고스 콘텐츠포럼 주제들> 

제1회(2011. 11. 4, 한국체대) : ‘콘버전스와 스토리텔링’ 

제2회(2011. 12. 2, 홍대 카페) : ‘K-Pop과 대안연구공동체’ 

제3회(2012. 1. 13. 서울연극센터) : ‘트렌스미디어 콘텐츠와 공연(바비레따)’ 

제4회(2012. 2. 4, 서울연극센터) : '나꼼수와 애플 스티브 잡사 史에서 한 수 배우기' 

제5회(2012. 3. 10, 서울연극센터) : '코무니콜로기와 폴라 익스플레스' 

제6회(2012. 4. 7, 서울연극센터) : 콘텐츠포멧과 내 고민을 말해봐 

제7회(2012. 5.12. 한국체대) : '다큐멘터리와 저작권' 

제8회(2012. 6. 9. 서울연극센터) : '일본문화와 CT기술' 

제9회(2012. 7. 21-22 도봉숲속마을) : 하계워크샵 '프랑스와 한류' 

제10회(2012. 8. 18. 서울연극센터) : ‘영화와 여행 콘텐츠’ 

제11회(2012. 9. 1. 서울연극센터) : ‘베를린 도시사와 한국합작영화’ 

제12회(2012. 10. 6. 서울연극센터) : ‘인터렉티브 미디어와 무형문화의 재현’ 

제13회(2012. 11. 3. 서울연극센터) : ‘인지과학과 어린이콘텐츠’ 

제14회(2012. 12. 15. 서울연극센터) : '트랜스휴먼과 문화콘텐츠‘ 

제15회(2013. 1. 12. 서울연극센터) : '자연-인간-사회관계의 구조화된 체계로서의 기술'과 ‘미디어 트랜드’ 

제16회 (2013. 2. 2. 서울연극센터) : ‘문화원형과 동서사유의 비교’ 

제17회 (2013. 3. 9. 서울연극센터) : ‘디지털의 버섯구름과 TV포맷 창작’ 

제18회 (2013. 4. 13. 서울연극센터) : ‘k-pop의 생산과 유통과 공연문화’ 

제19회 (2013. 5. 8. 서울연극센터) : ‘과학과 예술, 그리고 영화산업의 미래’ 

제20회 (2013. 6. 20~21. 국학진흥원) : ‘안동의 선비문화와 전통문화체험’ 

제21회 (2013. 7. 20. 서울연극센터) : ‘문화다큐에서의 참여관찰과 상호작용’ 

제23회 (2013. 8. 10. 한국체육대학교) : ‘프랑스 뮤지컬의 이해와 감상’
  

“갈라파고스는 복잡다기한 콘텐츠 분야에서 현장과 이론에 대한 소통과 공감, 그리고 상생을 위한 배움의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출발했습니다. 

시공간 속에서 변이하고 생동하는 객체성과 마주치며 생성해 가는 새로운 자기 만들기가 모임의 취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