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제26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안내
이름 : 관리자
등록일 : 2013-12-24 11:50:08
제26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안내
다사다난 했던 계사년 한해가 저물어 갑니다.
올 한 해도 갈라파고스가 꾸준히 성장할 수 있도록 늘 함께 해 주신 회원 여러분들께 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갑오년 말띠 해를 맞이하여 새해에는 회원 여러분들의 학문적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 드립니다.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송구영신을 겸한 올해의 마지막 포럼을 12월 28일(토)에 갖고자 합니다.
부득이 포럼 장소 섭외의 문제로 일정이 늦어지고, 장소가 갑자기 바뀌게 된 점을 너그러이 양해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제26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에서는 “일본의 국책영화와 Mentality” 라는 주제로
홍익대학교 교수이신 '키시카와 히데미(岸川秀實)' 선생님의 말씀을 듣고 토론해 보고자 합니다.
특히 이번 발제는 일본영화의 거장 쿠로사와 아키라(黒澤明)가 만든 작품의 특징과 의미를 다양하게 조명해 보고
자유로운 토론을 나누는 자리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이번 포럼은 특별히 성균관대학교에서 진행되오니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포럼 이후 조촐한 송년모임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문화에 관심있는 분들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본 포럼은 재능기부의 형태로 발표가 이루어지는 만큼, 별도의 회비나 참가비는 없습니다.
2013. 12. 10
Galapagos 포럼운영자 심승구교수
▮ 12월 콘텐츠포럼 안내
* 주제 : “일본의 국책영화와 Mentality”
* 일시 : 2013년 12월 28일(토) 14:00-18:30
* 장소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캠퍼스 퇴계인문관 3층 <31306B> 강의실
(퇴계인문관 위치는 첨부파일 확인. 그림에서 굵게 동그라미 친 건물)
* 오시는 방법
첫째, 4호선 혜화역 1번 출구로 나오면 정류장에서 성대 셔틀버스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요금 300원. 종점에서 하차, 학교 위쪽으로 올라가면 퇴계인문관이 나옴]
둘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로 나오시거나 종각역 2,3번 출구로 나오셔서 마을버스 “종로-2번” 을 이용하여 학교 내부까지 오시면 됩니다.
셋째, 성대 가는 버스 / 간선(파랑)버스 : 102, 104, 106, 107, 108,109, 140, 143, 149, 150, 151, 160, 162, 171, 172, 272, 273, 301, / 지선(초록)버스 : 2112
* 참석여부를 알려주시면 진행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김민옥 : 010-4382-9705 (volver79@naver.com)
<갈라파고스 콘텐츠포럼 주제들>
제1회(2011. 11. 4, 한국체대) : ‘콘버전스와 스토리텔링’
제2회(2011. 12. 2, 홍대 카페) : ‘K-Pop과 대안연구공동체’
제3회(2012. 1. 13. 서울연극센터) : ‘트렌스미디어 콘텐츠와 공연(바비레따)’
제4회(2012. 2. 4, 서울연극센터) : '나꼼수와 애플 스티브 잡사 史에서 한 수 배우기'
제5회(2012. 3. 10, 서울연극센터) : '코무니콜로기와 폴라 익스플레스'
제6회(2012. 4. 7, 서울연극센터) : 콘텐츠포멧과 내 고민을 말해봐
제7회(2012. 5.12. 한국체대) : '다큐멘터리와 저작권'
제8회(2012. 6. 9. 서울연극센터) : '일본문화와 CT기술'
제9회(2012. 7. 21-22 도봉숲속마을) : 하계워크샵 '프랑스와 한류'
제10회(2012. 8. 18. 서울연극센터) : ‘영화와 여행 콘텐츠’
제11회(2012. 9. 1. 서울연극센터) : ‘베를린 도시사와 한국합작영화’
제12회(2012. 10. 6. 서울연극센터) : ‘인터렉티브 미디어와 무형문화의 재현’
제13회(2012. 11. 3. 서울연극센터) : ‘인지과학과 어린이콘텐츠’
제14회(2012. 12. 15. 서울연극센터) : '트랜스휴먼과 문화콘텐츠‘
제15회(2013. 1. 12. 서울연극센터) : '자연-인간-사회관계의 구조화된 체계로서의 기술'과 ‘미디어 트랜드’
제16회 (2013. 2. 2. 서울연극센터) : ‘문화원형과 동서사유의 비교’
제17회 (2013. 3. 9. 서울연극센터) : ‘디지털의 버섯구름과 TV포맷 창작’
제18회 (2013. 4. 13. 서울연극센터) : ‘k-pop의 생산과 유통과 공연문화’
제19회 (2013. 5. 8. 서울연극센터) : ‘과학과 예술, 그리고 영화산업의 미래’
제20회 (2013. 6. 20~21. 국학진흥원) : ‘안동의 선비문화와 전통문화체험’
제21회 (2013. 7. 20. 서울연극센터) : ‘문화다큐에서의 참여관찰과 상호작용’
제23회 (2013. 8. 10. 한국체육대학교) : ‘프랑스 뮤지컬의 이해와 감상’
제23회 (2013. 9. 14. 서울연극센터) : ‘서촌에서 본 주민활동의 가능성 및 과제’
제24회 (2013. 10. 19. 서울연극센터) : ‘Faction 창작을 위한 원천 스토리개발’
제25회 (2013. 11. 23. 서울연극센터) : ‘영화를 통해 본 소통 방법론’
“갈라파고스는 복잡다기한 콘텐츠 분야에서 현장과 이론에 대한 소통과 공감, 그리고 상생을 위한 배움의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출발했습니다. 시공간 속에서 변이하고 생동하는 객체성과 마주치며 생성해 가는 새로운 자기 만들기가 모임의 취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