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제28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 및 동계 워크샵 안내
이름 : 관리자
등록일 : 2014-02-26 10:19:50
제28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 및 동계 워크샵 안내
갈라파고스에서는 제 28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을 충북 괴산에서 동계 워크샵과 함께 진행하려고 합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국내 최고의 하이데거 권위자이신 이기상(한국외국대학교 글로벌콘텐츠학과 명예교수)을 모시고 “하이데거 예술철학”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하이데거의 예술에 대한 사유는 단순히 특정한 예술 영역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그의 전 사상을 관통하고 있는 존재사유의 시작과 끝을 이어주는 끈이며 열쇠입니다. 따라서 이번 이기상 선생님의 특강은 “예술을 실존의 탐색과정”이라고 본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예술론은 물론이고 그의 철학적 사유에 다가가는 좋은 기회가 되리라 기대됩니다.
아울러 이튿날에는 충북 괴산지역의 역사유적 및 문화콘텐츠 탐방을 실시하려고 합니다. 아래 일정을 확인하시고 많은 참석을 바랍니다. 가족 동반도 환영합니다.
2014년 2월 6일
Galapagos 포럼 운영자 심승구교수
■ 워크샵 일정
일정 : 2014년 2월 15일(토)~16일(일)
숙소 : 충북 괴산군 사은리 산막이옛길 비학봉마을
참가비 : 6만원 (1박2일)
출발시간 : 2월 15일(토) 오전 10시 출발예정
출발장소 : 한국체대 정문 앞
이동방법 : 승용차 동승 이동
소요시간 : 2시간
※ 문의 및 연락 : 심승구 010-5650-5064 / 전윤경 010-3234-0699
행사 담당 : 김정웅 010-8505-2186
※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 참고해주세요.
2월 15일(토)
- 10:00 : 출발
~ 13:30 : 도착
- 13:30 ~ 14:00 : 휴식
- 14:00 ~ 18:00 : 하이데거 예술철학 특강(이기상 교수님) 및 자유토론
- 18:00 ~ 20:00 : 저녁 식사 (바베큐 파티)
- 20:00 ~ 22:00 : 갈라파고스 발전방향(향후 일정 및 Web Magazine 출판 논의)
- 22:00 : 취침
2월 16일(일)
- 07:00 : 기상
- 07:30 ~ 08:30 : 아침 식사
- 09:00 : 괴산의 역사유적및 문화콘텐츠탐방(산막이 옛길, 홍명희생가, 김홍도 길)
- 13:00~14:00 : 점심
- 14:00~16:00 : 괴산한지박물관, 충민사, 괴산향토민속자료전시관
- 16:00 : 귀경
<갈라파고스 콘텐츠포럼 주제들>
제1회(2011. 11. 4, 한국체대) : ‘콘버전스와 스토리텔링’
제2회(2011. 12. 2, 홍대 카페) : ‘K-Pop과 대안연구공동체’
제3회(2012. 1. 13. 서울연극센터) : ‘트렌스미디어 콘텐츠와 공연(바비레따)’
제4회(2012. 2. 4, 서울연극센터) : '나꼼수와 애플 스티브잡史에서 한 수 배우기'
제5회(2012. 3. 10, 서울연극센터) : '코무니콜로기와 폴라 익스플레스'
제6회(2012. 4. 7, 서울연극센터) : 콘텐츠포멧과 내 고민을 말해봐
제7회(2012. 5.12. 한국체대) : '다큐멘터리와 저작권'
제8회(2012. 6. 9. 서울연극센터) : '일본문화와 CT기술'
제9회(2012. 7. 21-22 도봉숲속마을) : 하계워크샵 '프랑스와 한류'
제10회(2012. 8. 18. 서울연극센터) : ‘영화와 여행 콘텐츠’
제11회(2012. 9. 1. 서울연극센터) : ‘베를린 도시사와 한국합작영화’
제12회(2012. 10. 6. 서울연극센터) : ‘인터렉티브 미디어와 무형문화의 재현’
제13회(2012. 11. 3. 서울연극센터) : ‘인지과학과 어린이콘텐츠’
제14회(2012. 12. 15. 서울연극센터) : '트랜스휴먼과 문화콘텐츠‘
제15회(2013. 1. 12. 서울연극센터) : '자연-인간-사회관계의 구조화된 체계로서의 기술'과 ‘미디어 트랜드’
제16회 (2013. 2. 2. 서울연극센터) : ‘문화원형과 동서사유의 비교’
제17회 (2013. 3. 9. 서울연극센터) : ‘디지털의 버섯구름과 TV포맷 창작’
제18회 (2013. 4. 13. 서울연극센터) : ‘k-pop의 생산과 유통과 공연문화’
제19회 (2013. 5. 8. 서울연극센터) : ‘과학과 예술, 그리고 영화산업의 미래’
제20회 (2013. 6. 20~21. 국학진흥원) : ‘안동의 선비문화와 전통문화체험’
제21회 (2013. 7. 20. 서울연극센터) : ‘문화다큐에서의 참여관찰과 상호작용’
제23회 (2013. 8. 10. 한국체육대학교) : ‘프랑스 뮤지컬의 이해와 감상’
제23회 (2013. 9. 14. 서울연극센터) : ‘서촌에서 본 주민활동의 가능성 및 과제’
제24회 (2013. 10. 19. 서울연극센터) : ‘Faction 창작을 위한 원천 스토리개발’
제25회 (2013. 11. 23. 서울연극센터) : ‘영화를 통해 본 소통 방법론’
제26회 (2013. 12. 28. 성균관대학교) : ‘일본의 국책영화와 mentality’
제27회 (2014. 1. 9. 서울연극센터) : '인기이론과 환기시학'
“갈라파고스는 복잡다기한 콘텐츠 분야에서 현장과 이론에 대한 소통과 공감, 그리고 상생을 위한 배움의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출발했습니다.
시공간 속에서 변이하고 생동하는 객체성과 마주치며 생성해 가는 새로운 자기 만들기가 모임의 취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