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문화 연구원 (2006 ~ 2023)
제목 : '빅데이터의 활용과 잠재성'
이름 : 관리자
등록일 : 2016-11-21 21:48:39

제60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안내 
  
11월 포럼을 안내해 드립니다.  
이번 주제는 '빅데이터의 활용과 잠재성' 입니다. 
고려대학교 정희태 선생님을 모시고 "빅데이터 곱십어보기"라는 주제로 제 4차 혁명의 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빅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에 관해 이야기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아울러 제60회 갈라파고스를 기념하여, 정희태 선생님 강연 이후 갈라파고스의 진행과정과 향후 운영에 관해서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매달 한례씩 재능기부 형태로 이루어지는 갈라파고스 포럼은 관심 있는 분이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합니다. 
11월은 갈라파고스 5주년이 되는 달입니다.  
                                                                          2016. 11. 16 
                                                                                              Galapagos 포럼운영자 심승구 교수 
  
▮ 11월 콘텐츠 포럼 안내 
  
▢ 주제 : 빅데이터의 활용과 잠재성 (발표 : 정희태 선생님/ 고려대학교) 
▢ 일시 : 2016년 11월 19일(토) 오후 2시  
▢ 장소 : 문래동 청소년수련관 4층  
  



  
<갈라파고스 포럼> 
제1회(2011. 11. 4,한국체대) : Convergence와 Storytelling 
제2회(2011. 12. 2,홍대 카페) : K-Pop과 대안연구공동체 
제3회(2012. 1. 13.서울연극센터) : 트렌스미디어 콘텐츠와 공연(바비레따) 
제4회(2012. 2. 4,서울연극센터) : 나꼼수와 애플 스티브 잡사史에서 한 수 배우기 
제5회(2012. 3. 10,서울연극센터) : 코무니콜로기와 폴라 익스플레스 
제6회(2012. 4. 7,서울연극센터) : 콘텐츠포멧과 내 고민을 말해봐 
제7회(2012. 5.12.한국체대) : 다큐멘터리와 저작권 
제8회(2012. 6. 9.서울연극센터) : 일본문화와CT기술 
제9회(2012. 7. 21-22도봉숲속마을) : 하계워크샵'프랑스와 한류 
제10회(2012. 8. 18.서울연극센터) : 영화와 여행 콘텐츠 
제11회(2012. 9. 1.서울연극센터) : 베를린 도시사와 한국합작영화 
제12회(2012. 10. 6.서울연극센터) : 인터렉티브 미디어와 무형문화의 재현 
제13회(2012. 11. 3.서울연극센터) : 인지과학과 어린이콘텐츠 
제14회(2012. 12. 15.서울연극센터) : 트랜스휴먼과 문화콘텐츠 
제15회(2013. 1. 12.서울연극센터) : 자연-인간-사회관계의 구조화된 체계로서의 기술과 미디어 트랜드 
제16회(2013. 2. 2.서울연극센터) : 문화원형과 동서사유의 비교 
제17회(2013. 3. 9.서울연극센터) : 디지털의 버섯구름과TV Format창작 
제18회(2013. 4. 13.서울연극센터) : k-pop의 생산과 유통과 공연문화 
제19회(2013. 5. 8.서울연극센터) : 과학과 예술 , 그리고 영화산업의 미래 
제20회(2013. 6. 20~21.국학진흥원) : 하계워크샵 ‘안동의 선비문화와 전통문화체험’ 
제21회(2013. 7. 20.서울연극센터) : 문화다큐에서의 참여관찰과 상호작용 
제22회(2013. 8. 10.한국체대) : 프랑스 뮤지컬의 이해와 감상 
제23회(2013. 9. 14.서울연극센터) : 서촌에서 본 주민활동의 가능성 및 과제 
제24회(2013. 10. 19.서울연극센터) : Faction창작을 위한 원천 스토리개발 
제25회(2013. 11. 23.서울연극센터) : 영화를 통해 본 소통 방법론 
제26회(2013. 12. 28.성균관대) : 쿠로사와 아키라의 영화와 Mantality 
제27회(2014. 1. 18.서울연극센터) : 인지이론과 환기시학 
제28회(2014. 2. 15~16.괴산 비학봉마을) : 동계워크샵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제29회(2014. 3. 22.서울연극센터) : 영화로 본 정신분석학 
제30회(2014. 4. 19.한국체대) : 콘텐츠 , 스포츠를 말하다 
제31회(2014. 5. 24.서울연극센터) : 아도르노의 미학/예술이론 ’ 
제32회(2014. 6. 21.서울연극센터) : 장 루슈(Jean Rouch)의 시네마 베리떼 운동 
제33회(2014. 7. 26 .서울연극센터) : 웹진의 진화를 말하다 
제34회(2014. 8. 30.서울연극센터) : 중국 근현대 미술과 친잠의례 
제35회(2014. 9. 20.서울시청) : 도가철학과 발터 벤야민 
제36회(2014. 10. 18,서울시청) : 장자철학과 박흥식의 영화이야기 
제37회(2014. 11. 29.한국체대) : 유가철학의 세 가지 사유와 언어전쟁 
제38회(2014. 12. 20.한국체대) : 성리학/양명학과 한국의 무(武)문화 
제39회(2015. 1. 17.한국체대) : 묵가와 법가, 그리고 서울의 정체성 
제40회(2015. 2. 28.한국체대) : 스토리텔링 아키텍처와 하이데거의 기술철학 
제41회(2015. 3. 28.한국체대) : 디아스포라와 영상인류학 
제42회(2015. 4. 18.서교예술실험센터) : 소통의 변증법과 원령공주의 신 해석 
제43회(2015. 5. 16.서교예술실험센터) : 현대미술과 만화ㆍ애니메이션과의 만남 
제44회(2015. 6. 20.한국체대) : 동서양의 패션과 아도르노의 사회이론 Ⅰ 
제45회(2015. 7.18.문래동청소년수련원) :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가정신과 아도르노사회이론 2 
제46회(2015. 8. 22.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문화콘텐츠의 메타성과 유교적 예의 사회화 
제47회(2015. 9. 19.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지구촌 역사학과 한국사회의 해부 
제48회(2015. 10.17.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과 하이브리드 주체화 
제49회(2015. 11. 21.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발터 벤야민의 사상과 현실인식 
제50회(2015. 12. 19.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영화미학 
제51회(2016. 01. 16.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영성ㆍ축제ㆍ지식맵ㆍ스토리테마파크 
​제52회(2016. 02. 27.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메갈리안 논쟁과 전시공연 트랜드 
제53회(2016. 03. 19.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인종화된 남성성과 <네트워크사회의 도래> 
제54회(2016. 04. 23.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지구 신경계와 한국인의 생각하는 힘 
제55회(2016. 05. 21.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신 중국견문록과 정보화 경제 
제56회(2016. 06. 18.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재미론과 무속(巫俗) 
제57회(2016. 07. 16.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퇴계의 만매와 공존의 철학 
제58회(2016. 08. 27. 한국체육대학교) :  킬러콘텐츠의 재미구조 
제59회(2016. 09. 24. 문래동청소년수련원) : 주역의 점괘와 불교의 탱화 



  
“갈라파고스는 복잡다기한 콘텐츠 분야에서 현장과 이론에 대한 소통과 공감, 그리고 상생을 위한 배움의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출발했습니다.  
시공간 속에서 변이하고 생동하는 객체성과 마주치며 생성해 가는 새로운 자기 만들기가 모임의 취지입니다.” - 모임의 취지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