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예 연구소 (2003 ~ 2023)
제목 : 민족문화 100대 상징 선정의 의의와 활용방안 대토론회
이름 : 심승구
등록일 : 2006-09-05 14:20:27

문화관광부 민족문화상징100’선정기념  
‘100대 민족문화상징  문화사적 의의와 활용방안 대토론회’  


 문화관광부에서는 오는 9월 22일 금, 오후 1시 30분에 국민대에서 민족문화 100대 상징 선정의 문화사적 의의와 활용방안을 위한 대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6개패널로 구성하되, 각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진행된다. 이번 토론회에는 한국무예연구소 소장 심승구교수도 태권도, 씨름, 활, 윷놀이 등을 비롯한 사회와 생활문화의 토론을 맡아 진행한다.  


  장장 1년여에 걸친 전문가집단의 검토, 인터넷여론조사와 여론조사기관의 설문조사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서 민족문화100대상징이 선정· 발표된바 있습니다. 민족문화의 자긍심을 재확인하고, 너무도 친근하기 때문에 오히려 본의아니게 소외되어온 민족문화를 재평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더 나아가 한류의 본격적인 문화적 토대로서 민족문화의 세계화란 전략적 지향도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입니다. 
  이에 사계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대토론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기조발제를 통하여 전체적인 맥락을 총정리하고, 분야별로 총6개의 패널로 나누어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으고자 합니다. 학술적 원론토론에서 그침이 아니라 문화콘텐츠로서의 상징물의 구체적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실사구시적인 토론회를 지향하고자합니다. 종합토론의 장에서는 지정토론자 이외의 참석자들의 허심탄회한 의견도 수렴하고자하오니 사계의 많은 참석을 부탁올립니다. 
                                  
 .................................................................................................   

  ○ 일시 : 2006. 9. 22(금), 13:30 ~ 19:30 (총6시간)
  ○ 장소 : 국민대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국제회의실
  ○ 주최 : 문화관광부 · 민속문화연구소
  ○ 주관 : 민속문화연구소
  ○ 후원 : 국민대 테크노디자인대학원  
                            *사회:박경하(한국사,중앙대 사학과교수)
13:00~13:30  접수 및 등록 
13:30~14:00  [축  사] 이상규(국어학, 국립국어원장)
                        전승규(국민대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장)
 
                           *좌장 : 권오성(음악사, 한양대 음대교수)
                                   송하경(동양철학, 성균관대 동양철학과 교수)

     &#65517; <총론> 14:00~14:40(40분)  
“민족문화상징의 문화사적 계보와 상징적 층위” 
&#65381;발제: 주강현(역사민속학, 민속문화연구소장)

 &#65517; <제1패널> 14:40~15:20(40분)  “민족·강역 및 자연상징” 
[항목] 태극기,무궁화,독도,백두대간,백두산,금강산,동해,대동여지도,황토,갯벌,풍수,소나무,진돗개,호랑이,한우,천상열차분야지도,거북선,측우기,물시계와 해시계,수원화성,정보통신 (이상 21개)
                 &#65381;사회: 김종혁(역사지리학,고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65381;패널: 박일상(컨텐츠디자인,국민대 테크노대학원교수) 
       이기복(한국사,수산과학관 큐레이터) 
       박병상(생태학,생태연구소장)
 
▷ 휴식 10분(15:20~15:30)
  
 &#65517; <제2패널> 15:30~16:10(40분)   “역사상징” 
[항목] 고인돌,빗살무늬토기,서울,경주,평양,단군,광개토대왕,원효,세종,퇴계,
    이순신,정약용,안중근,유관순,석굴암,비무장지대,길거리응원 (이상 17개)
                 &#65381;사회: 임학성(한국사,고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65381;패널: 장호수(고고학, 문화재청 상근문화재전문위원)
                         박계리(미술사, 서울대학교강사)
                         김상렬(한국사,인천시립 송암미술관학예실장) 
 
 &#65517; <제3패널> 16:10~16:50(40분)   “사회 및 생활상징(1)” 
[항목] 오일장,&#61956;녀,강릉단오제,영산줄다리기,솟대와 장승,두레,정자나무,돌하르방,동의보감,인삼,태권도,씨름,활,윷놀이,서당,한석봉과 어머니 (이상 16개)
                  &#65381;사회: 정종수(한국사, 국립춘천박물관장)
&#65381;패널: 진철승(종교사, 한국종교연구회 연구위원)       
       심승구(한국사,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김동전(한국사, 제주대 사학과 교수)
 
 &#65517; <제4패널> 16:50~17:30(40분)   “사회 및 생활상징(2)”  
[항목] 한복,색동,다듬이질,김치,떡,전주비빔밥,고추장,된장과 청국장,삼계탕,옹기,불고기,소주와 막걸리,냉면,자장면,한옥,온돌,제주도돌담,초가집 (이상 18개)
&#65381;사회: 김정아(건축사, 영산대 실내건축학과 교수)
&#65381;패널: 고부자(복식사, 단국대 교수)
       강찬석(건축사, 코리아헤리테지 집행위원장)
       송인규(디자인, 동서대디자인학과 교수) 
 

▷ 휴식 10분(17:30~17:40)
 
 &#65517; <제5패널> 17:40~18:10(30분)   “신앙 및 사고상징”   
[항목] 선,미륵,효,선비,종묘와 종묘대제,굿,서낭당,도깨비,금줄 (이상 9개)
&#65381;사회: 최종성(종교사,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65381;패널: 이수자(민속학, 경기대 겸임교수, 문화재전문위원) 
       김지욱(민속학, 경기도박물관)
       강성원(미학, 일민미술관)

 &#65517; <제6패널> 18:10~18:50(40분)   “언어 및 예술상징”
[항목] 한글,한지,조선왕조실록,팔만대장경,직지심체요절,고구려고분벽화,반가사유상,백제의 미소,고려청자,백자,분청사기,막사발,풍물굿,탈춤,판소리,아리랑,거문고,대금,춘향전 (이상 19개) 
&#65381;사회: 조현신(디자인, 동서대 디자인과 교수)
&#65381;패널: 손희하(국어학, 국립국어원 정책진흥본부장) 
       김수현(음악사, 중앙대 국악대학겸임교수)
       박경훈(화가,제주전통문화연구소장) 
  
 &#65517; <종합토론> 18:50~19:20(30분) 
&#65381;사회: 박경하(한국사, 중앙대 사학과교수)


 ▷ 석식(19:30~21:00) 



* 연락처 
사단법인 민속문화연구소(010-3164-6812,019-386-4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