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예 연구소 (2003 ~ 2023)
제목 : 제4회 세계인문학포럼(The 4th World Humanities Forum) 안내
이름 : 관리자
등록일 : 2016-10-31 19:35:54

제4회 세계인문학포럼(The 4th World Humanities Forum) 안내
 

구분
 <1일차> 10.27.(목) 
 <2일차> 10.28.(금) 
 <3일차>10.29.(토)
 
09:00~

09:30
 등 록
   
   
 
09:30~

10:30
 기조 강연 1

욕망 과잉과 자유인
 기조 강연 2

규범과 ‘공공’의 인문학
 기조 강연 3

인문교육과 희망의 인문학
 
10:30~12:00  분과 회의 

1-1 성과주의와 피로사회

분과회의 

1-2 소비사회와 환경문제
 
분과회의 

1-3 세계화와 새로운자본주의
 
분과회의 

1-4 자유실현의 새 패러다임

  
 분과 회의 

2-1 인공지능기술의 토대와 본성
 
분과 회의 

2-2 인공지능기술의 문화적 파장
 
분과 회의 

2-3 개인주의와 공동체의식
 
분과회의 

2-4 자본과 공공성

  신진연구자세션 

분쟁과 평화

 
 분과회의 

3-1 인문 교육과 인문학

 분과 회의 

3-2 정전과 인간상 정립

 분과회의 

3-3 동서 인문교육의 전통
 
분과 회의 

3-4 현대인문교육과 희망의 인문학
 
12:00~13:30 오 찬
 
13:30~15:00 분과회의

  

15:00~16:30

 개 회 식 및

전체 기조강연

희망, 인문학에서 잊혀진 주제
   

  

문 화 투 어

(화성 행궁 및

수원 문화유산)
 라운드 테이블

(15:00~17:00)
 
16:30

~18:00
 신진연구자

세션

분쟁과 평화
 수원시

주관 세션

(인문학으로 시민의 삶을 바꾸다)
 
폐 회 식

(17:00~18:00)
 
18:00

~19:30
 만찬 및 이동
 만찬 및 이동
   
 
19:30

~21:30
 문학인의 밤

(SK아트리움)
 인문학 콘서트: 정조대왕의 꿈

(문화의 전당)
 

 
제1일【10월 27일(목)】

시간
 프로그램
 주제 및 강연자
 
09:30

~

10:30
 중주제

기조강연 1

[종합관 대강당]
 가즈시게 신구(Shingu Kazushige)

나라대학, 일본

제목 : 희망이라는 이름의 가장 먼 과거: 시공상의 이주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에세이
 
10:30

~

12:00

/

13:30

~

15:00
 분과회의 1

욕망 과잉과 

자유인
 1-1. 

성과사회와 ‘피로사회’

  

[종합관

102호]
 1. 다카하시 다카오(Takahashi, Takao) 구마모토 대학. 일본 

    소비사회와 인간의 이상
 
2. 조민환성균관대학교, 한국

    피로사회와 동양의 은일(隱逸)사상
 
3. 주광순 부산대학교, 한국

         피로사회에서의 저항
 
4. 김종주 김종주신경정신과의원, 한국

       다산의 피로증후군과 인문학적 자기분석
 
5. 이규 뉴욕시립대, 미국

         페르 손 페르 세, 언제까지나: 호모 페르포만스 오늘 다시 읽기
 
1-2.

소비사회와 환경문제

  

[종합관

104호]
 1. 말레키 보이치에(Wojciech, Małecki) 브로츠와프대학, 폴란드

         소비주의만이 우리를 구할 수 있다! 환경의 위기에 대해 어떻게 말할 것인가? 그리고 왜 말해야 하는가?
 
2. 스콧 슬로빅(Slovic, Scott) 아이다호대학, 미국

         값을 매길 수 없는 것을 상품화하기: 초계량적 사고와 물에 대한 인식
 
3. 김용민 연세대학교, 한국

   자본주의를 넘어서서 - 생태사회를 꿈꾸는 문학
 
4. 노희정 광주교육대학교, 한국

    소비사회에서의 관계적 윤리와 소비자 시민성
 
       5. 파트릭 드졸지(Patrick Degeorges) 프랑스, 환경부

    인류세에서의 급진적 희망
 
1-3.

세계화와 새로운 자본주의

  

[종합관

105호]
 1. 레온 니모진스키(Niemoczynski, Leon). 모라비안대학, 미국

    자연의 의미
 
2. 강혜령 콜로라도대학, 미국

    :    세계화 과정에서 나타난 지구적 정의의 제 문제
 
3. 송용섭 영남신학대학, 한국

    :   지구 생태계를 위한 기도: 생태윤리학과 신자유주의
 
4.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한국

         공유의 인문학”을 제안한다: 21세기 지구적 자본주의에서의 “소유”
 
5. 이성혁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

       인지자본주의의 정동정치와 최근의 한국문학 
 
1-4.

자유실현의 새 패러다임

  

[다산관

205B호]
 1. 파니어셀밤(Panneerselvam,Sivanandam) 마드라스대학, 인도

   희망의 인문학을 위한 문화적 패러다임
 
2. 전철 한신대학교, 한국

         케노시스 개념의 인문학적 함의: 자기비움의 사회적 가능성에 대하여
 
3. 탄밍란(潭明冉, Tanmingran) 산동대학교, 중국

          그대로 내버려 두는 것 (무위) vs. 재능을 칭송하는 것 (상현): 장자의 통치관에 대한 분석
 
4. 김세정 충남대학교, 한국

         소비사회 치유를 위한 유교생태수양론
 
5. 박경준 동국대학교, 한국

        초기 불교에서 본 욕망과 자유실현
 
15:00

~

15:30
 개회식

[종합관

대강당]
 개회사, 환영사, 축사, 대회사 등
 
15:30

~

16:30
 전체

기조강연

[종합관

대강당]
 로제 폴 드루와(Roger-Pol Droit), 모니크 아틀랑(Monique Atlan)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프랑스 공영방송 채널2, 프랑스

제목 : 인문학의 잊혔던 주제, "희망"
 
13:30

~

15:00

/

16:30

~

18:00
 수원시 주관

세션 

희망의 인문도시 수원

  

[다산관

121호 (소강당)]
 1. 강진갑 경기대학교, 한국

제목 : 수원의 인문유산과 인문 도시 수원
 
2. 김준혁 한신대학교, 한국

제목 : 정조대왕의 꿈과 다산의 인문정신
 
3. 심승구 한국체육대학교, 한국

제목 : 수원 화성의 인문학적 의의와 그 미래지향적 함의         
 
4. 박연규 경기대학교, 한국

제목 : ‘장소 체험’을 통한 인문학적 가치의 회복
 
       5. 이재준 아주대학교, 한국

    :‘대안운동으로서 수원시 마을만들기 운동
 
16:30

~

18:00
 신진연구자

세션

분쟁과 평화

  

[다산관

205B호]
 [1]

경제적·

정치적 갈등에서 오는 분쟁의 극복
       1. 에르난데스 마시아스(Hernández Macías José Antonio)                        라틴아메리카학, 멕시코

제목 : 콜롬비아와 베네수엘라: 형제국가간의 갈등
 
      2. 제르마 에브 이비아 에베가(MBIA YEBEGA, Germain-Hervé)
중앙아프리카 지정학 재단, 카메룬

    : 서아프리카의 지속적인 평화와 발전: 시험에 든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의 공동 방위 및 안보 정치
 
19:30

~

21:30
 부대행사

[SK아트리움]
 고은시인과 함께하는 문학인의 밤

문학인과 독자와의 만남 사인회, 시낭송‧시노래 콘서트, 수원시립 교향약단 공연 등
 

    
제2일【10월 28(금)】

시간
 프로그램
 주제 및 연사
 
09:30

~

10:30
 중주제

기조강연 2

[종합관 대강당]
 칼 메르텐스(Mertens, Karl) 뷔르츠부르크 대학, 독일

제목 : 사회적 관점 : 익명적 사회질서로부터 개인적 사회적 자각으로 
 
10:30

~

12:00

/

13:30

~

15:00
 분과회의 2

규범과 ‘공공’의 인문학
 2-1. 

인공지능

기술의 토대와 본성

  

[종합관

102호]
 1. 김기현 서울대학교, 한국 

제목 : 인공지능의 미래와 인문학의 역할
 
2. 이동신 서울대학교, 한국

제목 : 인공집단지능과 다중 자아
 
3. 무라카미 유코(Murakami, Yuko) 강원대학교, 한국

제목 : 인공지능의 문화 간의 상호작용
 
4. 이영의 김종주신경정신과의원, 한국

제목 : 인공지능과 내러티브적 자아
 
5. 장병탁 서울대학교, 한국

제목 : 인공지능과 인간의 삶
 
2-2.

인공지능

기술의 문화적 파장

  

[종합관

104호]
 1. 강우성 서울대학교, 한국

제목 : 인공지능의 도전
 
2. 숀 갤러거(Gallagher, Shaun) University of Memphis (USA) and University of Wollongong (AU), 미국

제목 : 감정이 없는 로봇: 인공적인 공감의 가능성에 대하여
 
3. 신상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

제목 : 자율적인 인공지능 행위자를 위한 윤리학
 
4. 이종관 성균관대학교, 한국

제목 : AI의 출현과 실존적 인간: 4차 산업 혁명 시대,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5. 홍성욱 서울대학교, 한국 

제목 : 누가 자율적 기계를 두려워하는가? 인공지능에 대한 역사적 고찰
 
2-3.

개인주의와 공동체의식

  

[종합관

105호]
 1. 마이크 에드워드(Edwards, Mike) 로햄튼대학. 영국

제목 : "이사이오스"에 나타난 웅변의 기만적인 서사
 
2. 전성기 고려대학교, 한국

제목 : 양심철학과 양심선(禪) 수사 
 
3. 김희열 제주대학교, 한국

제목 :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연대 상호작용
 
4. 홍성기 아주대학교, 한국

제목 : 개인과 공동체: 대화의 평등성과 개체화의 상대성
 
5. 김신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

제목 : 휴머노이드 로봇의 도덕적 지위 
 
2-4.

자본과 공공성

  

[다산관

205B호]
 1. 윌리엄 슈바이커(William Schweiker) 시카고대학, 미국

제목 : 인도적인 자본: 지속 가능하며 인도적인 미래에 대하여
 
2. 김광수 성균관대학교, 한국

제목 : 초국적 기업의 성장과 탈규범성: 현상 및 대안적 논의
 
3. 양선진 충남대학교, 한국

제목 : 한국적 자본주의의 성과와 공공 윤리의 부재
 
4. 크리스티나 한(Han, Christina) 윌프리드로리어대학, 미국

제목 : 경쟁 대상으로서의 대중: 초국가적 자본주의 시대의 박물관
 
5. 곽정연 덕성여자대학교, 한국

제목 : 문화자본과 문화정책의 공공성
 
신진연구자

세션

분쟁과 평화

[다산관

205B호]
 [2]

종족적·

습속적·

문화적 갈등에서 오는 분쟁의 극복 
 1. 로브샨 이브라히모브(Ibrahimov, Rovs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아제르바이잔

제목 : 나고르노 카라바흐 지역에서의 아르메니아인과 아제르바이잔인 간의 갈등과 그 평화적인 해결 방법
 
2. 카인 죠(ZAW, Khine) 미얀마사회과학원, 미얀마

제목 : 미얀마의 국가적 화해: 신화 혹은 운명
 
3. 유스티너스 트리 수바그야(Subagya, Yustinus Tri) 산타다르마대학, 인도네시아

제목 : 인도네시아의 민족 및 종교 간 폭력, 중재, 화해
 
[3]

이념적 갈등에서 오는 분쟁의 극복
 1. 정재관 고려대학교, 한국

제목 : 내전 후 민주주의 체제 수립의 결정 요인
 
2. 황지환 서울시립대학교, 한국

    : 강대국과 한반도 분단, 그리고 통일
 
3. 베른트 마르텐스(Bernd Martens) 마틴 루터 대학, 독일

     : 배척과 환대 사이: 이데올로기적 갈등 시기의 동독으로부터의 이주와 이주 동독인의 서독에의 동화 패턴
 
15:00

~

18:00
 부대행사

[화성]
 문화투어 : 화성행긍 및 수원 문화유산
 
19:30

~

21:30
 부대행사

[경기도 

문화의 전당]
 뮤지컬: 정조대왕의 꿈

정조대왕의 일대기중 수원화성 축성 등을 소재로 구성
 

 
제3일【10월 29일(토)】

시간
 프로그램
 주제 및 연사
 
09:30

~

10:30
 중주제

기조강연 3

[종합관 대강당]
 조동일 서울대학교, 한국

제목 : 인문학 교육의 사명
 
  

10:30

~

12:00

/

13:30

~

15:00
 분과회의 3

인문교육과 희망의 인문학
 3-1. 

인문교육과 인문학

  

[종합관

102호]
 1. 페터 바우만(Baumann, Peter) 스와스모어 리버럴아트칼리지, 독일

제목 : 교양 교육과 민주주의
 
2. 이연승 서울대학교, 한국

제목 : 효자: 비범한 성스러움을 담지한 평범한 일상적 인간
 
3. 임동석 건국대학교, 한국

제목 : 한국 전통 인문교육과 미래를 위한 점검
 
4. 송현호 아주대학교, 한국

제목 : 한국현대문학에 나타난 이주담론의 인문학적 연구
 
5. 프리츠 발러(Wallner, Fritz) 비엔나대학, 오스트리아

제목 : 인문 교육을 위한 구성적 실재론과 방법론
 
3-2.

정전(正典)과 인간상 정립

  

[종합관

104호]
 1. 마틴 렙(Repp, Martin) 말부르크대학, 독일

제목 : 성서에서의 인간상
 
2. 노엘 시에스(Sheth, Noel) 자비에르대학, 인도

제목 : 마하트마 간디의 이상적 인간상 및 이상적 사회상 교육 
 
3. 허우성 경희대학교, 한국

제목 : 비폭력 원리와 ‘불멸의 민족혼’이 충돌하면 한국의 인문학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4. 김성룡 호서대학교, 한국

제목 : 고전 교육과 인문의 완성 
 
5. 백두현 경북대학교, 한국 

제목 : 인간상 정립의 관점에서 본 正典 한글 문헌의 가치
 
3-3.

동서 인문교육의 전통

  

[종합관

105호]
 1. 이창우 가톨릭대학교, 한국

제목 : 그리스철학고전과 인문정신: 소크라테스와 파이데이아
 
2. 앤디 해밀턴(Hamilton, Andy) 더럼대학, 영국

제목 : 예술적 자유와 표현의 자유
 
3. 카즈 오이시(Oishi, Kazuyoshi) 도쿄대학교, 일본

제목 : 희망과 낭만파 시인: 19세기 초 영국에서의 복지와 교육 
 
4. 쩡구오민(鄭國民, Zhengguomin) 북경사범대학, 중국

제목 : 중국 초중등학교에서의 고대 시문 및 산문 교육
 
5. 양일모 서울대학교, 한국

제목 : 근대적 ‘윤리’ 개념의 탄생 - 修身과 倫理 
 
3-4.

현대 인문교육과 희망의 인문학

  

[다산관

205B호]
 1. 폴 프레스콧(Prescott, Paul) 워릭대학, 영국

제목 : 고난의 치료약? 21세기에 <로컬과 글로벌 셰익스피어>를 가르친다는 것 
 
2. 파울 슈베르트(Schubert, Paul) 제네바대학, 스위스

제목 : 우리는 왜 고전을 읽어야 하며, 고전학을 공부해야 하는가? 
 
3. 김기석 상해외국어대학, 중국

논문 : 중국 외국어대학의 인문교육
 
4. 김태경 가천대학교, 한국

제목 : 현대일본의 인문교육:‘국제교양대학’을 부르는 힘 
 
5. 한경구 서울대학교, 한국

제목 : 한국 인문교육의 문제와 인문학의 과제
 
15:00

~

17:00
 라운드 

테이블

  

[종합관 대강당]
 1. 사회자 : 손동현

세계인문학포럼 추진위원장. 대전대, 한국
 
2. 조무제

한국연구재단(NRF), 한국
 
3. 존 크라울리(John Crowley)

유네스코(Unesco), 영국
 
4. 윌리엄 아담스(Willam Adams)

NEH, 미국 
 
5. 카즈오 세이야마(Kazuo Seiyama)

JSPS, 일본
 
6. 씨에 디쿤(Xie Dikun)

CASS, 중국
 
7. 아담스 사마세쿠(Adama Samassekou)

World Humanities Conference, 발리
 
8.. 파블로 젠틸(Pablo Gentili)

CLACSO, 아르헨티나
 
17:00

~

18:00
 폐회식

[종합관

대강당]
 리마인드동영상, 폐회사, 포럼 경과보고, 폐회선언 등